지구 평균 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2050년까지 모든 국가가 넷-제로(Net-Zero)를 달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모든 글로벌 시스템에 걸쳐 신속한 변화가 필요하다.
1.5~2℃를 기후저지선(climate defense line)이라고 하며, 목표 달성을 못할 경우 생태계와 인간 사회는 돌이킬 수 없는 매우 높은 위험에 처하게 되며, 지구 평균 기온이 6도 상승할 경우 지구에 존재하는 95%의 생명체가 대멸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 대비 최소 45% 이상 감축해야 하며, 2050년까지 탄소 제로 에너지원, 소위 그린 에너지를 통해 전력의 98%-100%를 공급하여 탄소 배출량이 '0'이 되는 탄소 중립을 달성해야 한다.
세계자원연구소(WRI)에서는 넷-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10가지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화석 에너지의 단계적 감축, 청정 에너지와 에너지 효율 개선에 투자, 건축물 개축, 소재의 탈-탄소화, 친환경자동차로의 전환, 대중교통 이용량 증가, 항공과 해운의 탈-탄소화, 산림 복원, 음식물 폐기물 및 쓰레기 감량, 육식 감축 및 채식 증가 등이다.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 은 기업이 필요한 전력량의 100%를 태양광·풍력 등 친환경 재생 에너지원을 통해 발전된 전력으로 사용하겠다는 기업들의 자발적 글로벌 재생에너지 캠페인이다.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와 파트너쉽을 맺은 다국적 비영리 기구인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 주도로 2014년에 시작되었으며, 직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글로벌 위기인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기업 활동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전력을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재생 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로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많은 양의 온실가스 배출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분야가 바로 발전 부문으로, 화석연료를 대체하면서 온실가스 배출 없는 태양광, 풍력을 비롯한 재생 에너지 발전은 탄소 중립, 탄소 제로 목표에 가장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RE100 참여 기업은 2050년까지 100% 달성을 목표로 하며, 연도별 목표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수립하되, 2030년 60%, 2040년 90% 이상의 실적 달성을 권고하고 있다.
RE100 참여 기업은 연간 전력 소비량이 100GWh 이상 소비 기업이나 Fortune 1,000대 기업과 같이 글로벌 위상을 가진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검증 방법은 기업의 재생 에너지 사용 실적을 제3기관을 통해 검증하며, CDP 위원회의 연례보고서를 통해 이행실적을 공개하고 있다.